
장례식장 비용, 얼마나 들까요?
갑작스러운 가족의 사망 소식.
정신없는 와중에도 가장 먼저 마주하는 현실은 바로 장례식장 비용입니다.
하지만 병원이나 장례식장 홈페이지를 찾아봐도,
비용 구조는 복잡하고 부대비용은 별도 계산이라 정확한 예산을 잡기 어렵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실제 장례식장 사용료 및 부대비용 항목을 낱낱이 정리하고
실비보험 청구 가능 여부까지 함께 알려드립니다.
기본 구성: 장례식장 사용료 3대 항목
장례식장 비용은 일반적으로 아래 세 가지로 나누어 계산됩니다.
① 빈소 사용료 (실 이용요금)
- 시간 단위 또는 1일 단위로 계산
- 시설 규모, 위치, 냉난방 여부에 따라 가격 차이 있음
- 예시: 서울 대형 병원 기준 1일 약 70~120만 원
② 안치료 (시신 안치실 보관비)
- 보통 시간당 또는 12시간/24시간 단위 요금
- 12시간 기준 약 10만 원 내외, 24시간 기준 약 15~20만 원
③ 장례용품 세트비용
- 관, 수의, 입관물품, 수시세트 등 포함
- 종류에 따라 100만 원~500만 원 이상 차이 발생
그 외 발생하는 부대비용 항목들
장례식장 사용료 외에도 다양한 비용이 따로 추가됩니다.
가족 구성이나 장례 문화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다음 항목들이 포함됩니다:
항목 | 내용 | 예상 금액 (2025년 기준) |
---|---|---|
음식 접대비 | 조문객 식사, 음료 | 인당 8,000~15,000원 |
인력비 | 도우미, 장례지도사 인건비 | 1인당 하루 약 15~20만 원 |
운구차량 | 시신 운구용 리무진/앰뷸런스 | 20~50만 원 |
영정사진 제작 | 인화, 액자 포함 | 5~10만 원 |
제단 장식 | 꽃장식 포함 | 30~80만 원 |
봉안함/납골당 | 별도 계약 시 추가 | 최소 100만 원 이상 |
전체 평균 비용은 얼마인가요?
구분 | 일반형 | 고급형 |
---|---|---|
장례식장 사용료 | 약 200~400만 원 | 500만 원 이상 |
총 부대비용 포함 시 | 평균 600~1,000만 원 수준 | 1,200만 원 이상 가능 |
※ 단, 무연고자 장례나 간소장례, 지자체 장례지원 이용 시 비용은 대폭 줄어들 수 있습니다.
실비보험(실손보험) 청구 가능한 항목은?
항목 | 청구 가능 여부 | 비고 |
---|---|---|
시신 안치료 | 가능 | 사망 보험금과는 별도 청구 가능 |
입관비, 수시비 | 경우에 따라 가능 | 의료적 목적(시신 보존 등)인 경우 |
장례식장 사용료 | 일반적으로 불가 | 생활비/의전 목적은 제외됨 |
사망진단서 발급비 | 불가 | 비급여 항목 |
※ 청구 전 보험사 약관 확인은 필수입니다. 일부 항목은 사망 원인과 관계 없이 면책될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 경험자나 예비 준비자에게 꼭 필요한 정보
장례비용은 갑자기 맞이하게 되는 큰 지출입니다.
정보가 부족한 상태에서 계약서에 서명하면, 불필요한 고급 품목을 선택하거나
청구 가능한 항목도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혹시 여러분은 장례 준비 중 비용 문제로 당황하셨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또는 실비 청구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은 적 있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