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아들이 유튜브 수익을 남겼는데, 사망 후에도 수입이 들어오고 있어요”
조회수는 여전히 나오고, 광고 수익은 누적되고 있는데…
그 수익을 가족이 받을 수 있는지, 계정을 유지할 수 있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유튜브 채널도 이제는 디지털 자산,
사망 이후 상속 대상이 될 수 있는지, 법적/기술적 문제를 알아봅니다.
2. 유튜브 채널 수익, 법적으로는 상속 대상입니다
- 유튜브 채널 수익은 광고수익(애드센스) + 슈퍼챗 + 멤버십 등으로 구성
- 이 수익은 사망자의 ‘채권’으로 간주 → 상속 대상 자산
→ 상속인 입장에서 채널 소유권을 주장할 수는 있음
3. 문제는 계정 접근 권한입니다
✔ 구글 계정은 상속 개념이 없음
- 구글의 정책상, 개인 계정은 ‘양도 불가’
- 구글은 유족 요청이 있어도 계정 비밀번호 제공은 불가
- 대신, 사망자 계정 삭제 or 콘텐츠 삭제 요청만 가능
4. 그럼 어떻게 상속해야 하나요?
방법 1: 생전 ‘비상 접근자(Inactive Account Manager)’ 설정
- 구글 계정 설정 → Inactive Account Manager 기능
- 사망 또는 장기 미접속 시, 사전에 지정한 사람에게 계정 접근권 부여 가능
- 유튜브, 지메일, 드라이브 포함 전체 서비스에 적용됨
방법 2: 법원을 통한 상속권 주장
- 유산 목록에 유튜브 수익 포함 → 상속협의서에 포함 가능
- 단, 구글의 정책을 우회할 수는 없음 → 유튜브 수익금 수령은 기술적 접근 필요
방법 3: 애드센스 수익금만 수령
- 애드센스 계좌에 연결된 은행 계좌가 사망자 명의일 경우
→ 잔여 수익금은 유족이 금융 상속 절차로 수령 가능
→ 단, 그 이후의 수익은 채널 관리자가 아니면 받을 수 없음
5. 현실적인 조언
- 유튜브는 계정 이전보다는 수익정산 구조를 분리하는 게 핵심
- 공동 운영(매니지먼트) 방식 + 사전 유언장 설정이 가장 효과적
- 디지털 자산도 상속설계의 일부라는 인식 필요
마무리
“유튜브는 취미”였던 시대는 끝났습니다.
지금은 채널 하나가 월 수십~수백만 원을 벌 수 있는 자산입니다.
죽음 이후를 대비하고 싶다면,
비상 접근 설정과 수익금 정리, 지금부터라도 준비하세요.
혹시 가족 중 유튜브 수익이 발생하고 있는 계정을 두신 분이 계신가요?
어떻게 대비하고 있는지 댓글로 나눠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