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신고 후 무엇을 해야 하나요? 꼭 해야 할 후속 절차 7가지 정리

사망신고 후 무엇을 해야 하나요? 꼭 해야 할 후속 절차 7가지 정리

사망신고로 끝이 아닙니다

사망신고는 가족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첫 절차지만,
그 후에도 행정·금융·보험 등 후속 업무가 줄줄이 이어집니다.

많은 분들이 “사망신고 했으니 끝났다”고 생각하지만,
놓치면 불이익이 생기는 중요한 절차가 꽤 많습니다.


1. 주민센터 사망신고 완료 후, 어떤 일이 처리되나요?

  • 가족이 제출한 사망신고서 + 사망진단서를 기준으로
  • 자동으로 주민등록 말소, 건강보험 탈퇴, 연금 종료 등 연계됨
  • 하지만 이것만으론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 아래 절차는 가족이 별도로 챙겨야 합니다.


2. 꼭 해야 할 사망 후 처리 절차 7가지

항목설명
① 국민연금 정산연금 수령 중이었다면 정산·유족연금 신청 필요
② 실손·사망보험 청구보험사마다 기한 있음 (통상 3년 이내)
③ 자동차 명의 이전 또는 말소차량이 있을 경우, 등록지 관할로 신고
④ 부동산 명의 정리상속절차 미루면 세금 불이익 생길 수 있음
⑤ 은행·증권계좌 잔액 조회금융감독원 통합조회시스템(파인) 활용
⑥ 휴대폰·유선통신 해지자동이체 계속되는 경우 많음
⑦ SNS·디지털 자산 정리네이버·카카오 등에는 유족 요청 제도 있음

3. 실수로 놓치기 쉬운 절차들

  • 사망 후에도 건강보험료 고지서가 날아오는 경우
    → 신고가 누락되었거나 자녀 주소지로 잘못 청구되는 경우
  • 자동이체가 계속되는 통신비, OTT 서비스 등
    → 고인의 계좌가 동결되기 전에는 계속 결제됨
  • 공동명의 부동산이 있는 경우
    → 상속인 간 분쟁 발생 우려 있음, 조기 정리 필요

4. 금융 계좌 조회는 어디서 하나요?

  • 금융감독원 파인 서비스 이용
  • 사망자의 이름 + 주민등록번호 + 사망진단서 사본 필요
  • 유족은 상속인임을 증명할 수 있어야 조회 가능

5. 디지털 자산, 요즘엔 무시 못합니다

플랫폼유족 서비스 여부
네이버‘디지털 상속’ 신청 가능
카카오고객센터 통해 유족 인증 필요
구글사망자 계정 비활성화 후 일부 데이터 접근 가능

특히 고인이 활발히 활동한 SNS나 블로그가 있다면
댓글 비공개, 비활성화 요청 등을 빠르게 진행해야 합니다.


✅ 정리 – 사망신고는 시작일 뿐

사망신고 이후에도
정리해야 할 일은 많고, 놓치면 금전적 불이익이나 법적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한 번에 끝내려 하지 말고,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하나씩 정리해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