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도 상속되나요? 디지털 자산, 유언장에 넣는 법 총정리

비트코인도 상속되나요? 디지털 자산, 유언장에 넣는 법 총정리

1. “아버지가 코인을 갖고 있었다는데, 아무도 접근을 못 해요”

실제 있었던 사례입니다.
하드월렛이나 거래소 계정은 남아 있는데, 비밀번호와 2차 인증 수단이 모두 사라진 상황.

코인, NFT 같은 디지털 자산은 상속이 안 되나요?
→ 결론: 법적으로 상속 가능합니다.
하지만 기술적으로 상속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2. 디지털 자산도 ‘재산’입니다

현행 민법에 따르면,
상속 대상은 고인의 재산 전체입니다.

즉, 다음도 모두 상속 가능 자산으로 인정됩니다:

  •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 가상자산(암호화폐)
  • NFT 및 기타 디지털 토큰
  • 웹소설 저작권, 게임 아이템, 웹사이트 운영권 등

3. 문제는 ‘접근 방법’입니다

  • 지갑 주소 + 프라이빗키(개인 키) 없이 복구 불가능
  • 거래소 계정도 본인 인증 없으면 접속 불가
  • 대부분의 디지털 자산은 기술적 보호장치가 너무 강함

법적으로 상속은 가능해도, 실물처럼 찾아서 나눌 수가 없는 상황이 생깁니다


4. 유언장에 담아야 할 정보는?

유언장에 이런 정보가 들어가야 실질적 상속이 됩니다:

  • 보유 디지털 자산 목록 (코인, NFT 등)
  • 각 자산의 보관 방식 (지갑 주소, 거래소 계정명 등)
  • 프라이빗키, 2FA 복구 방법 등
  • 상속인 지정 방식 (지분 분할 여부)
  • 공동 상속 시 분배 방법 (BTC는 소수점까지 나뉘기 때문에 비율도 중요)

※ 절대로 유언장에 프라이빗키를 그대로 쓰면 안 됩니다
→ 별도 암호문서로 저장하고, 그 위치만 유언장에 명시


5. 권리 주장은 어떻게 하나요?

  • 국내 거래소 보유 시: 고객센터에 ‘사망 증명 서류 + 가족관계증명서’ 제출 → 상속 가능
  • 외국 거래소: 대부분 거부 → 법원 명령이 필요하거나, 사실상 회수가 어려움
  • 개인지갑 보유: 키를 알지 못하면 실질적 상속 불가 (완전한 손실)

마무리

디지털 자산은 법적으로는 상속 대상이지만,
기술적으로는 소유자의 관리에 따라 ‘실제 상속 가능 여부’가 갈리는 자산입니다.
지금 내가 가진 코인, NFT가 있다면
‘죽음 이후’도 설계한 사람만이 진짜 자산가입니다.


혹시 가족 중 디지털 자산을 보유한 분이 계신가요?
유언장에 어떻게 담을지 고민 중이라면 댓글로 나눠주세요.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