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Uncategorized

사망하면 주민등록은 어떻게 되나요? 말소 절차와 서류 한눈에 정리


1. “장례는 치렀는데, 주민등록은 그대로네요”

부모님이 돌아가신 뒤,
주민등록은 자동으로 말소될 거라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사실은,
직접 ‘사망신고’와 주민등록 말소를 해야 행정상 정리가 완료됩니다.


2. 사망신고와 주민등록 말소, 뭐가 다른가요?

  • 사망신고: 가족관계등록부에서 사망자로 표시됨 (호적 정리)
  • 주민등록 말소: 주민등록번호가 폐기되고, 모든 민원 시스템에서 ‘사망자’로 처리됨

→ 즉, 둘 다 해야 은행, 세금, 보험, 연금, 통신 해지 등 연계 정리가 가능합니다.


3. 주민등록 말소 절차 요약

✔ 누구나 신청할 수 있나요?

  • 원칙적으로는 **직계가족(자녀, 배우자 등)**이 가능
  • 장례식장을 통한 대행도 가능 (일부 지자체)

✔ 어디에서 하나요?

  •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동주민센터)
  • 또는 가까운 구청 민원실
  • 일부 지자체는 정부24 온라인 신청 가능사망신고 통합 서비스

✔ 준비서류

  • 사망진단서 or 사체검안서
  • 신청인 신분증
  • 사망자와의 관계를 증명할 수 있는 가족관계증명서 (필요 시)

4. 자동으로 말소되는 경우는?

  • 사망신고가 접수되면 주민등록 말소는 ‘동시에’ 진행되는 지자체도 있음
  • 하지만 행정구역이 다를 경우 또는 시스템 연동이 지연되면 따로 방문해야 하는 경우도 있음
    → 그래서 확실하게 정리하려면 사망신고 후 주민센터에 직접 확인하는 게 안전

5. 말소 후 확인할 수 있는 방법

  • 정부24 → [민원 신청 내역] → 주민등록표 말소 확인
  • 전화 문의: 해당 구청 주민등록 담당 부서

※ 말소 처리되면 더 이상 등본에 이름이 뜨지 않으며, 주민등록번호도 사용 중지 상태로 처리


마무리

장례만 치른다고 모든 게 끝난 게 아닙니다.
주민등록 말소까지 마무리해야 행정상 ‘마지막 정리’가 됩니다.

사소해 보여도 놓치면 불필요한 고지서, 공과금, 통신 요금 등이 계속 청구될 수 있어요.
사망신고와 주민등록 말소는 함께 처리하세요.


혹시 말소 절차 중 헷갈렸던 점이나, 추가로 정리 필요한 내용이 있으신가요?
댓글로 질문 주시면 사례별로 정리해드릴게요.



dmlgustm

Recent Posts

국민연금, 언제 받는 게 유리할까?

국민연금은 기본적으로 만 65세부터 지급되지만,조건에 따라 조기 수령(최대 5년 앞당김, 만 60세부터 가능) 또는 연기…

2일 ago

실손보험으로 보장되지 않는 치료 항목 – 가입자가 꼭 알아야 할 부분

실손보험, 만능은 아니다 실손의료보험(실손보험)은 ‘제2의 건강보험’이라고 불릴 만큼 가입률이 높습니다.하지만 모든 치료비를 다 보장해주는 것은…

7일 ago

상속세 절세 전략 – 상속포기 vs 한정승인 차이와 선택 기준

상속세와 상속인의 선택 부모나 가족의 재산을 상속받게 되면, 기쁨보다는 세금·빚 부담 때문에 고민이 생길 수…

2주 ago

자동차 사고 과실비율에 따른 합의금 계산 방법 – 실제 사례로 정리

자동차 사고와 과실비율의 중요성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가장 먼저 따지는 것이 과실비율입니다.과실비율은 사고에 대한 운전자 각각의…

2주 ago

종신보험 해지 환급금 조건과 계산법 – 가입 전 꼭 알아야 할 사실

종신보험 해지 환급금이란? 종신보험은 사망 보장을 중심으로 설계된 보험 상품이지만, 중途 해지할 경우 납입한 보험료의…

3주 ago

음주운전으로 사고 냈을 때 형사합의금 시세와 감형 조건

✅ 음주운전 사고, 벌금보다 ‘합의’가 더 중요하다 음주운전 자체만으로도 형사처벌 대상이 되지만, 사고까지 냈다면 벌금으로는…

4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