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라도 받을 수 있을까?”
👉 결론부터 말하면: 원칙적으론 안 됩니다. 하지만 예외가 있습니다.
상속포기를 하면,
해당 상속인은 처음부터 상속인이 아니었던 것처럼 처리됩니다.
(민법 제1019조 제2항)
즉,
✅ 재산도 못 받음
✅ 빚도 안 갚아도 됨
❌ 다시 돌아가서 받을 수도 없음
BUT! 예외는 존재합니다.
대법원은 일부 판례에서
“상속포기 당시 중대한 재산이 은폐되었거나 고의로 숨겨졌다면,
소급하여 상속포기 취소가 가능하다”고 판단한 바 있음.
📌 조건:
✅ 이 경우 가정법원에 상속포기 무효확인 소송 가능
상속포기 후,
다른 상속인들까지 전원 포기하면
→ 다시 ‘후순위 상속인’ 자격으로 상속권이 넘어올 수 있음
예:
포기했다 하더라도
그 이후에 몰래 예금 인출하거나
부동산을 처분하면
👉 법원은 “사실상 상속받은 것으로 본다”
→ 포기 효력 무효 + 빚도 함께 떠안게 됨
📌 이럴 땐 즉시 가정법원 or 상속 전문 변호사와 상담 권장
상속포기는 ‘끝’처럼 보이지만,
중대한 정보를 놓쳤거나, 법적으로 다툴 여지가 있다면
한 번쯤은 다시 문을 두드려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기한은 짧고,
조건은 까다롭고,
실수하면 손해는 큽니다.
그래서 포기 전에도, 후에도 반드시 꼼꼼하게 따져봐야 합니다.
실손보험, 만능은 아니다 실손의료보험(실손보험)은 ‘제2의 건강보험’이라고 불릴 만큼 가입률이 높습니다.하지만 모든 치료비를 다 보장해주는 것은…
상속세와 상속인의 선택 부모나 가족의 재산을 상속받게 되면, 기쁨보다는 세금·빚 부담 때문에 고민이 생길 수…
자동차 사고와 과실비율의 중요성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가장 먼저 따지는 것이 과실비율입니다.과실비율은 사고에 대한 운전자 각각의…
종신보험 해지 환급금이란? 종신보험은 사망 보장을 중심으로 설계된 보험 상품이지만, 중途 해지할 경우 납입한 보험료의…
✅ 음주운전 사고, 벌금보다 ‘합의’가 더 중요하다 음주운전 자체만으로도 형사처벌 대상이 되지만, 사고까지 냈다면 벌금으로는…